반응형

전체 글 29

총균쇠 책 리뷰 및 독후

📖 『총, 균, 쇠』 – 재레드 다이아몬드 🧭 문명의 궤적을 뒤바꾼 세 가지 요소, 총·균·쇠이 책을 읽으며 나는 인간의 역사가 얼마나 우연과 환경에 의해 좌우되어 왔는지 다시금 실감했다. ‘왜 어떤 문명은 지배자가 되고, 어떤 문명은 지배를 당했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한 이 거대한 탐사는 단순히 과거를 해석하는 데 그치지 않고, 현재를 바라보는 새로운 눈을 열어준다. 총은 무력을, 균은 면역과 병원의 차이를, 쇠는 기술과 도구의 힘을 상징한다. 이 세 가지 요소가 어떻게 문명의 흥망을 가르고, 세계를 오늘의 모습으로 만들었는지를 과학, 지리, 생물학, 언어, 고고학까지 넘나들며 설득력 있게 그려낸다. 특히 ‘유라시아 대륙이 다른 대륙보다 일찍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 같은 대목에서는, 우리가 당..

18:00:53

데미안 책 리뷰 및 독후감

📖 『데미안』 – 헤르만 헤세 🌌 이름을 알 수 없는 내면의 목소리데미안은 단순히 한 청년의 성장 이야기라기보다는, 우리 모두 안에 존재하는 ‘또 다른 자아’에 대한 이야기였다. 처음엔 싱클레어라는 소년이 너무도 평범하고 수동적으로 느껴졌지만, 그의 삶에 데미안이 들어오면서 모든 것이 바뀌기 시작했다. 데미안은 이름 없는 내면의 목소리, 길을 잃은 나를 이끄는 존재처럼 다가왔다. 🌱 선과 악의 경계를 흔드는 질문들이 책을 읽는 내내 머릿속이 어지러웠다. ‘왜 악한 것이 무조건 나쁜 것인가?’, ‘우리는 누구의 기준으로 살아야 할까?’ 같은 질문들이 끊임없이 던져진다. 특히 ‘아브락사스’라는 개념은 기존의 이분법적 세계관을 완전히 흔들어버렸다. 선과 악의 공존, 그 모순적인 진실 앞에서 나도 모르게 ..

16:00:15

구의 증명 책 리뷰 및 독후감

📖 『구의 증명』 – 최진영 🪜 불완전함의 계단에서 마주한 증명의 순간들“구의 증명”이라는 제목은 어쩌면 수학적 정리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이 소설은 이성과 논리를 넘은 감정과 고통의 연산이다. 삶이라는 거대한 방정식 안에서 누군가의 존재와 상처를 ‘증명’해낸다는 것은 가능할까? 최진영 작가는 이 책에서 죽은 언니를 향한 동생의 내밀한 서사를 통해, 우리가 얼마나 많은 감정과 기억을 애써 증명해내려 하는지를 고요하게 되묻는다. 이야기의 중심은 ‘구’라는 이름의 언니를 잃은 한 인물이다. 그녀는 자살이라는 비극적인 결말을 남기고 사라졌지만, 동생의 내면에서는 여전히 살아 숨 쉬고 있다. 책은 언니가 떠난 후의 시간, 그리고 언니가 떠나기 전의 시간들을 교차로 서술하며, 독자로 하여금 마치 누군가의 일기..

14:00: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