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기원 책 리뷰 및 독후감

서울도서관 3호점 2025. 8. 6. 15:00
반응형

📖 『행복의 기원』 – 서은국

행복의 기원
행복의 기원

 

😊 행복은 결과가 아닌, 삶의 조건이다

『행복의 기원』은 ‘행복’이라는 추상적인 감정을 심리학적·진화론적 관점에서 분석한 책이다. 저자 서은국 교수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성공하면 행복해질 것이다’라는 공식을 정면으로 반박한다. 이 책은 그 어떤 자기계발서보다 과학적이며, 그 어떤 철학책보다 따뜻하다. 왜냐하면 그것은 인간이라는 존재가 가진 '행복 욕구'를 생물학적 본성으로 해석하고, 그것이 삶 속에서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탐구하기 때문이다.

 

서은국 교수는 ‘행복은 우리가 살아가는 데 필요한 심리적 장치’라고 주장한다. 즉, 행복은 어떤 특별한 성취 뒤에 따라오는 보상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 살아가고 움직이기 위해 필요한 기본 조건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은 독자에게 신선한 충격을 준다. 행복이란 멀리 있는 이상향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실시간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말이다.

 

🧠 행복을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책은 행복을 다양한 심리 실험과 진화론적 근거를 통해 설명한다. 대표적인 실험 중 하나는 사람들에게 "복권에 당첨된 사람과, 사고로 하반신이 마비된 사람 중 누가 더 행복할까?"라는 질문이다. 결과는 놀랍게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두 집단의 행복 수준이 비슷해진다는 것이다. 이 실험은 행복이 환경이 아니라 뇌의 조절에 따라 유지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또한 도파민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이 어떻게 ‘행복감’을 유발하는지를 분석하며, 우리가 하는 선택과 행동 대부분이 행복이라는 ‘쾌감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생존 전략임을 밝혀낸다. 즉, 인간은 진화적으로 ‘행복을 느껴야만’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이다.

 

🌈 사랑, 우정, 소비, 일 — 우리의 모든 감정은 행복으로 향한다

『행복의 기원』이 특별한 이유는, 행복을 단일한 감정으로 보지 않고 다양한 맥락 속에서 탐구한다는 점이다. 사랑, 우정, 쇼핑, SNS, 운동, 식사, 음악 감상 등 인간이 일상에서 하는 거의 모든 행동은 사실상 ‘행복 회로’를 자극하는 활동이다.

 

하지만 그 과정이 지나치면 중독으로, 부족하면 우울로 이어진다. 이 책은 그러한 균형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가에 대한 힌트를 던진다. 특히 행복이 ‘쾌락’이 아닌 ‘의미’와 연결될 때, 그 지속성이 더 높아진다는 사실은 감정적·철학적 통찰로 이어진다.

 

📘 삶을 재구성하게 만드는 책

『행복의 기원』은 결국 “내가 왜 이 삶을 살고 있지?”라는 질문에 대한 생물학적이고도 심리학적인 답변이다. 그동안 행복을 성과나 결과로 오해했던 독자들에게, 이 책은 지금 이 순간을 어떻게 살 것인가를 다시 묻는다. 책장을 덮고 나면, 우리의 감정과 행동이 훨씬 명료하게 보이기 시작한다.

 

🌿 이런 분께 추천하고 싶어요

  • '행복'이라는 감정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싶은 사람
  • 성과 중심 삶에 지쳐, 삶의 본질을 다시 생각해보고 싶은 독자
  • 심리학이나 진화심리에 관심 있는 일반인
  • 진지하지만 따뜻한 인문서를 찾는 독서가
  • '지금 이대로의 나'를 긍정하고 싶은 모든 사람

📌 다정한 메모

『행복의 기원』은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질문에 가장 본질적인 실마리를 제공하는 책이다. 삶이 막막하게 느껴질 때, 복잡한 철학 대신 우리의 몸과 마음을 이해하려는 노력에서 실마리를 찾는 이 책은, 지금의 나를 안아주는 작은 안내서가 되어줄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나면, 행복은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작동시키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지도 모른다.

 

 

총균쇠 책 리뷰 및 독후

📖 『총, 균, 쇠』 – 재레드 다이아몬드 🧭 문명의 궤적을 뒤바꾼 세 가지 요소, 총·균·쇠이 책을 읽으며 나는 인간의 역사가 얼마나 우연과 환경에 의해 좌우되어 왔는지 다시금 실감했다.

slib3.koreanblog.xyz

 

데미안 책 리뷰 및 독후감

📖 『데미안』 – 헤르만 헤세 🌌 이름을 알 수 없는 내면의 목소리데미안은 단순히 한 청년의 성장 이야기라기보다는, 우리 모두 안에 존재하는 ‘또 다른 자아’에 대한 이야기였다. 처음엔

slib3.koreanblog.xyz

 

사피엔스 책 리뷰 및 독후감

📖 『사피엔스』 – 유발 하라리 인류는 언제부터 사피엔스가 되었을까. 그리고 왜 지금의 인간만이 지구를 지배하게 되었을까.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는 그런 궁금증을 가진 사람에게

slib3.koreanblog.xyz

 

반응형